■ 열역학용어설명 |
|
|
|
Law of Conservation of Energy
에너지보존의 법칙
|
|
"열역학 제1법칙" 이라고 하는 에너지보존의
법칙은 우주내의 총에너지가 일정하다는 것을
의미합니다. 어떤 물체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나
빛에너지 또는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바뀔 수
있는 것처럼 다른 물체에서 에너지를 얻을 수
있으나 에너지를 창조하거나 파괴하지는 못합니다.
이 법칙은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을 인정함으로서
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를 구체화시킨 새로운
법칙으로 대치 되었습니다.
화학반응 중 발열과정이 일어나는 동안에 분자의
위치에너지 감소는 분자의 위치에너지 증가로
에너지 균형이 이루어지는 법칙입니다.
|
|
Temperature
온도 |
|
물체를 만졌을 때 뜨겁고 차가운 정도를 나타내는
것으로 열역학에서는 분자의 평균운동에너지라고
정의합니다.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섭씨온도(Celsius
scale), 화씨온도(Fahrenheit scale), 절대온도(Kelvin
scale) 등이 있습니다.
|
|
Celsius Temperature Scale
섭씨온도 |
|
일반적으로 흔히 쓰이는 섭씨온도는 1기압에서
물의 어는점을 0℃로, 끓는점을 100℃로 하여
그 사이를 100등분한 온도이며, 기호로는 ℃
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 섭씨온도는 스웨덴의
천문학자인 셀시우스 (Anders Celsius, 1701-
1744) 이름을 따라 쓰이게 되었으며, 섭씨(攝氏)는
중국에서 셀시우스를 한자로 攝爾修로 표기한데에서
유래되었습니다.
|
|
Fahrenheit Temperature Scale
화씨온도
|
|
1기압의 대기에서 물의 어는점(0℃)을 32℉,
끓는점(100℃)을 212℉로 정하여 그 사이를
180 등분한 온도이며, 기호로는 ℉를 사용하고
있습니다. 화씨온도는 미국이나 영국에서 주로
사용하는 온도단위로 1724년 독일의 파렌하이트
(Daniel Gabriel Fahrenheit, 1686-1736)가
최초로 사용하기 시작한 온도입니다. 화씨(華氏)는
파렌하이트의 중국식 표기인 華倫海特에서 유래되었습니다.
화씨온도 [℉] = [섭씨온도 ℃] x 1.8 + 32
|
|
Kelvin Temperature Scale
Absolute Temperature Scale
절대온도 |
|
켈빈온도(표시단위: K)는 물질이 열에너지를
전혀 가질 수 없는 최저온도를 O도(절대영도)로
하여 만들어진 온도입니다. 절대영도에서는
물질의 분자운동이 정지되며, 양자역학적 최소운동만이
존재합니다. 켈빈온도는 과학에서 기본온도단위로
사용하고 있으며, 영국의 물리학자 켈빈 (William
Thomson, 1st Baron Kelvin, 1824 - 1907)의
이름을 따라 K라고 표시합니다.
켈빈온도 [K] = [섭씨온도 ℃] + 273.15
|
|
Heat
열 |
|
열은 열전도, 열대류, 열복사를 통하여 전달되는
원자나 분자운동과 관련된 에너지의 한 형태입니다.
열은 일에너지 혹은 일에너지에서 열에너지로
변환될 수 있습니다. 열에너지의 단위는 Joule,
ft·lb, kWh, cal 등 일의 단위로 표현합니다.
열을 정량적으로 정의하기 위해서 열량 (Quantity
of Heat)이라는 물리량을 사용합니다. 열량의
단위로는 일반적으로 칼로리(calorie, 기호
cal)와 에너지의 공통단위인 줄(joule, 기호
J)로 표시하며, 1cal는 물 1g을 1℃ 올리는
데 필요한 열량이고 1cal = 4.18J 입니다.
|
|
Heat Capacity
열용량 |
|
물질 1 g을 1 ℃ 올리는데 필요한 열에너지입니다.
J/g · ℃
|
|
Enthalpy
엔탈피 |
|
"H" 기호인 엔탈피는 "함유하고있다"라는
독일어 "Enthalten"으로부터 유래된
용어로서 (때로는 그리스어인 "Enthalpos"에서
유래되었다고도함) 화학이나 물리학에서 열함량을
나타내고 있습니다. 어떤 계에서 총엔탈피를
직접산출할 수 없기 때문에 반응전 반응물과
생성물의 엔탈피변화량을 산출하여 상태에너지량을
결정하게 됩니다.
ΔH = H (final) - H (initial)
ΔH
H (final)
H (initial)
|
: 엔탈피 변화량, kJ/mole or kcal/mole
: 생성물의 엔탈피, kJ/mole or kcal/mole
: 반응물의 엔탈피, kJ/mole or kcal/mole |
예1) 발열반응 : 수소원자로부터 수소분자의
형성 (공유결합)
H· + H· → H-H +435 kJ/mole ΔH = -435 kJ/mole
수소분자형성시 435 kJ/mole의 열을 발생하여
주위에 주었으므로 생성된 H2 분자자체는 그
만큼의 에너지가 감소. 따라서 엔탈피값은 음수가
됨.
예2) 흡열반응 : 수소분자로부터 수소원자로
분해 (가역반응)
H-H + 435 kJ → H· + H· ΔH = -435 kJ/mole
수소분자의 공유결합을 해체하기 위하여 435
kJ/kg의 열을 가하여 2 몰의 수소원자로 분해.
이 때 수소원자자체는 그 만큼의 에너지를 함유하게
되므로 엔탈피값은 양수가 됨.
|
|
Molar Enthalpy of Fusion
용융몰 엔탈
|
|
용융점이란 고체와 액체상태가 평형을 이루는
온도로서 고체가 단열계 내에 있을 때는 용융점에서도
녹지 않으며 액체를 고체화시키지도 않습니다.
Gibbs의 자유에너지 개념을 도입하면 용융평형은
용융에 의한 자유에너지 변화 (ΔG melt)가 0일 때 발생합니다.
ΔG melt = ΔH melt - TΔS melt = 0
ΔS melt : 고체가 녹아서 액체로 될 때의 엔트로피증가
ΔH melt : 융해열
|
|
Calorimetry
열량측정 |
|
열역학의 기본 측정 중의 하나는 화학반응이
계 내에서 일어날 때 계가 얼마나 많은 열을
얻었는지 또는 방출하였는지를 측정하는 것
입니다. 이러한 열변화의 측정을 열량측정법이라고
하며, 측정장치를 열량계(Calorimeter)라고
합니다. 일반적으로 상변화물질은 Differential
Scanning Calorimetry 방법으로 열량을 측정합니다.
|
|
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
시차주사열량법 |
|
DSC는 가열 또는 냉각 동안 물질이 흡수 또는
방출하는 열((dΔQ/dt)을 측정하여 물질의 물리적
상태변화시 수반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열량측정방법입니다.
|